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56

함소원 이혼 마케팅 함소원이 지난 3일 이혼 선언 후 6시간 만에 번복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함소원이 자신의 SNS를 통해 이혼을 선언한 뒤 6시간 만에 돌연 번복하면서 대중들의 이목을 끌었는데요, 이후 함소원은 남편 진화와 함께 라이브방송을 진행하면서 이혼선언의 배경과 이유를 밝혔습니다. 함소원이 이혼선언을 하면서 주요 이유로 악플러에 대한 언급을 했는데요, 하지만 이번 일을 주목하고 있는 미디어와 대중들은 이 이유가 진짜인지에 대한 의문 제기를 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상에서 연예인이 악플을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인데 이를 이유로 들어 이혼한다는 것 자체가 도무지 납득 불가능 하다는 거죠. 이에 대해 함소원은 '대중들의 걱정에 힘들어하는 모습이 미안하다'며 이혼 선언을 번복하게 된 이유를 밝혔는데요. 이번 해프닝으로.. 2023. 4. 5.
맥심 모카골드 안에서 실리콘패킹 가루 나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동서식품이 맥심모카골드 마일드 커피믹스 제품을 자율회수한 이후 3~4일 내에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제품인 커피믹스에 실리콘 패킹이 혼입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는데요 이로 인해 식약처는 창원시청에 행정처분을 요청하고, 동서식품에 회수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1차 시정명령에 해당되며, 2차 개선되지 않을 경우 품목제조정지 5일, 3차 시 품목제조정지 10일로 처분 강도가 세진다고 합니다. 커피믹스 제조과정에서 생산설비로부터 실리콘 패킹이 이탈돼 커피 원료에 혼입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요, 식약처는 동서식품 창원, 인천 소재 공장에서 실리콘 조각이 혼입된 해당 커피 원료를 사용해 최종제품인 맥심모카골드 마일드 커피믹스(27만3276kg)를 생산하고 일부 유통·판매한 것으로 밝.. 2023. 4. 5.
인민일보 논설에서 시진핑 이름 빼먹어 인민일보가 국가 단결에 대한 논설에서 시진핑의 이름을 빠뜨려 백만 장의 인쇄본을 회수했다고 합니다. 자유아시아 (RFA)의 기사 이미지 분석에 따르면, 제5면에 실린 논설에서는 시진핑이 이끄는 중국의 업적이 열거되었으며, "단결과 투쟁은 중국인들이 역사적인 사명을 이루는 유일한 길"이라는 문장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그러나 라디오 자유 아시아(RFA)의 기사 이미지 분석 결과, "동지" 이후의 한 문장에서 시진핑의 이름이 빠져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온라인 판에서는 "시진핑 동지"라는 이름이 제대로 언급되었습니다. 해당 글의 작성자는 가명을 사용했으며, 그 사람의 실제 이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작성자를 처벌할 결정은 시진핑 자신이 내릴 것입니다. 중국의 공식 매체 보도는 공식 당원들의 이름, .. 2023. 4. 4.
Korea's unique emergency centre for drunkards According to Korea Bio Med (https://www.koreabiomed.com), local goverments in South Korea have opened emergency medical centres in hospitals to cater to drunkard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drunkards in Gyeongsang Province. These centres provide dedicated beds for intoxicated individuals until they become sober. Gyeongsang Province has recently opened an emergency medical centre for.. 2023. 4. 4.
여성 혼자 여행하기 좋은 나라 - 한국이 빠진 이유는? 최근 영국 BBC에서 여자 혼자 여행하기 좋은 5개 나라를 선정해 보도했는데요, 일본은 이 나라들에 포함이 되었는데, 아쉽게도 한국은 리스트에 들지 못했습니다. BBC 기사에 의하면, 혼자 여행하는 여성들이 많이 늘고는 있지만, 여성들은 여전히 혼자 해외여행을 할 때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는데요, 일부 나라들은 여성들의 안전과 평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서, 이런 나라들을 여행하면서 얻게 되는 즐거움이 크다고 합니다. 혼자 여행하는 여성들이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는 나라들을 찾기 위해, BBC는 기본적으로는 조지타운 대학의 여성평화안보지수(WPS), 세계경제포럼의 성차별지수(GGI), 경제와 평화연구소의 전 세계평화지수(GPI)를 참고했는데요, 이러한 나라들을 방문해 본 여성들에게서 들은 .. 2023. 4. 4.
태국 방콕 - 흰 바지 여성 테러 조심! 최근 방콕의 한 BTS 역 주변에서 흰색 바지를 입고 지나가는 여성들에게 못된 짓을 하는 정신나간 남성을 조심하라는 경고성 메세지가 소셜 미디어에 자주 올라오고 있습니다. 방콕 남쪽지역에 거주하는 24세의 여성이 최근 (4월 2일) 겪은 불쾌한 일을 소셜 미디어에 공유했는데, 자신이 BTS 베아링 (Bearing)역에서 나와 혼자 걸어가고 있을때 뒤에서 이 남성이 다가와 이 여성의 바지에 빨간색 스프레이 페인트를 뿌리고 달아났다고 하네요. 인터뷰에서 자신이 니드노이라고 밝힌 이 여성은, 이 날 오후 7시30분에서 8시 경에 친구와 함께 베어링 역에서 계단을 내려오는 중 한 할아버지가 앉아서 그녀를 쳐다보고 있는 것을 보았는데,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 그녀는 자신의 다리가 축축.. 2023. 4. 4.
최저시급 2024 내년 1만 2천원 요구 - 호주워킹이 답인가? 노동계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약 25%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양대 노총은 4일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2024년 적용 최저임금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 최저임금을 시급 1만2000원, 월급 250만8000원(209시간 기준)을 요구했습니다. 올해 최저임금인 시급 9620원, 월급 201만580원보다 24.7% 높은 액수입니다. 최저임금 인상의 근거 노동계는 최저임금 인상의 근거로 △물가 폭등 시기 최저임금 현실화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실질임금 저하 △해외 주요국의 적극적인 임금인상 정책 △노동자 가구 생계비 반영 등을 제시했습니다. 노동계의 요구안 양대 노총은 “지난 2년 연속 공익위원들이 내놓은 물가 상승률과 경제 성장률, 고용 증가율을.. 2023. 4. 4.
지민 빌보드 1위! 방탄소년단의 멤버인 지민 씨가 K팝 아티스트 솔로 역사상 최고 기록을 세우면서 그의 감격스러운 소감을 밝혔는데요, 4일, 미국 빌보드에 따르면 지민 씨의 첫 솔로 앨범 'FACE(페이스)'의 타이틀곡 '라이크 크레이지'(Like Crazy)가 팝스타 마일리 사이러스의 '플라워스'(Flowers), 컨트리 가수 모건 월렌의 '라스트 나이트'(Last Night) 등을 제치고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2012년 강남스타일로 싸이가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를 달성한 이후 9년 만에 K팝 솔로 가수들 중에서는 지민 씨가 성공적으로 1위를 차지한 것인데요, 방탄소년단의 멤버로서 이미 핫 100 1위를 차지한 경험이 있었던 지민 씨는 이번에 솔로 가수로도 역사를 썼습니다. 발표 직후 지.. 2023. 4. 4.
샤이니 태민 소집해제 - 5월에 샤이니 컴백 샤이니의 멤버인 태민이 오늘(4일) 소집해제되어 팬들 곁으로 돌아옵니다. 이전에 태민은 2021년 5월 31일 충남 논산 육군훈련소를 통해 군 복무를 시작했었습니다. 그러나 우울증 및 공황장애 증세로 보충역으로 전환되었고, 이번에 사회복무요원 복무를 마치고 소집해제됩니다. SM엔터테인먼트 측은 "태민은 이전부터 우울증 및 공황장애 증세로 군 복무 중에도 치료와 상담을 지속적으로 받았지만, 최근 증세가 악화되어 군 생활과 병행할 수 없다는 군의 판단과 조치로 보충역으로 전환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태민의 소집해제로 인해 샤이니는 이제 전원 군필돌이 되었으며, 5월에는 완전체 컴백을 앞두고 있습니다. 리더 온유는 2018년 12월 육군 현역으로 입대해 2020년 7월에 전역하였고, 키는 2019년 3월 육군 .. 2023. 4. 4.
일본은행, 역대 최대 1조 340억원 상당의 국채 매입 완료 일본은행은 2022회계연도(2022.4∼2023.3)에 1,340억원 규모의 일본 국채를 매입한 것을 3일 발표했습니다. 이는 2021회계연도 국채 매입 규모 대비 87% 급증한 수치이며, 2016년 매입액(115조8천1억엔)을 넘어서는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일본은행은 제로금리 정책을 유지하면서 장기금리를 0% 정도로 억제하는 방식으로 금리 상승 압력을 완화하려 했기 때문에 국채 매입 규모가 급격히 증가한 것입니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가하면서 금리 인상 등 금융 긴축에 나서고 있지만, 일본은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일본은행이 10년물 국채를 중심으로 무제한 국채 매입을 진행하여 장기금리 상승 압력에 대응하였습니다. 2023.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