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의 고층 건물에서 십 대 여고생이 옥상에서 뛰어내리며 자살한 사건이 있었는데요 이 끔찍했던 과정이 자신이 켜놓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를 통해 생중계되었습니다. 정말 충격적인 일이 아닐 수 없는데요, 여기에 더해 갈수록 많은 마약과 총기 등 반사회적인 콘텐츠도 온라인 생중계로 걸러내지 않고 퍼지고 있습니다.
실시간 콘텐츠는 정보 다양화와 엔터테인먼트의 풍요로움 등 기능적 이점이 있지만, 규제의 블라인드 스폿으로 인해 피해도 커지고 있는데요 여고생 A의 사망 과정이 그가 옥상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순간부터 소셜 미디어에서 생중계되어 소방관이 그의 시신을 수습하는 장면까지 생중계되었다는 사실은 정확한 사망 원인과는 상관없이 진지하게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15일 저녁, A양은 자살 계획을 시사하는 글을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리고, 다음 날 오후 2시쯤 약 20명의 시청자와 함께 SNS에서 생중계를 시작했습니다. 이 문제의 영상은 '강남 풀영상'이라는 제목으로 17일 새벽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는데요 영상은 유튜브가 삭제한 이후에도 텔레그램, 트위터 등 다른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이미 확산되어 갔습니다.
이는 생중계의 동시성 특성이 가진 부정적 영향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사례인데요 실시간 콘텐츠의 피해는 이번 사건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지난달 전두환 대통령의 손자 전우원 씨는 생방송 중 마약을 투약한 혐의를 받고 환각 증세를 보여 몸을 심하게 떨며 소리 지르는 모습을 보이던 장면이 생생한데요, 그는 최종적으로 미국 현지 경찰에 체포되었습니다.
우연히 이 같은 영상을 접하게 되는 경우 정신적 외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청소년의 경우 그 피해가 더 심각할 수 있다고 합니다. 볼려고 작정하고 해당 영상을 찾지 않아도 소셜 미디어에 접속한 이상 한 번쯤은 해당 영상을 접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인데요, 이태원 참사 때에도 유튜버들이 참혹했던 사고 현장에서 사망자들의 시신을 아무렇지도 않게 찍어 올려 시민들은 어쩔 수 없이 참혹한 현장상황을 간접 체험해야 했습니다.
SNS 라이브 방송은 방송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 방심위의 제재망을 우회할 수 있는데, 사후 제재가 어려운 만큼 AI 알고리즘 기술 도입을 통해 반사회적 콘텐츠를 자동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하며, 이를 위해 플랫폼 사업자에게 강력한 규제 의무를 부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K-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JMS 2인자 정조은(김지선) 결국 구속 - 준유사강간 혐의 (0) | 2023.04.18 |
---|---|
JMS 정명석 상황 파악 안되나? (0) | 2023.04.18 |
전세 피해자 500명 모여 집단 행동 시작 (0) | 2023.04.18 |
배달 앱 이용한 먹튀 여성 사기 혐의로 기소 (0) | 2023.04.17 |
제주 관광객이 오염 원인자? 만원씩 내라고? (0) | 2023.04.17 |
댓글